알뜰폰 요금제 해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알뜰폰 요금제는 약정기간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약정 기간이 없기 때문에 언제든지 해지해도 되지만 해당 월초에 해지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월초에 해지하면 최대한 적은 비용을 내고 해지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알뜰폰 요금제 회사는 종류가 많습니다. 그래서 각 회사마다 해지절차도 조금씩 다릅니다. 어떤 곳은 해지서와 본인 신분증을 메일로 보내야 됩니다. 그리고 전화를 해서 해지 신청을 완료해야 합니다. 또 다른 곳은 관련 서류 보낼 필요 없이 인터넷에서 해지 신청만 하면 전화가 와서 해지 의사만 묻고 바로 해지가 되기도 합니다.
인터넷으로 해지 가능한 알뜰폰 회사와 해지 방법
제가 직접 해지해본 알뜰폰 회사로 정리해보겠습니다. 홈페이지에서 해지 신청하면 통신사에서 전화가 걸려오는 방식은 sk7 모바일에서 해지하는 방식입니다. 직접 통화를 걸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sk7에서는 직접 전화가 옵니다. 그래서 해지를 위해 전화를 고객센터에 계속 전화 걸 필요가 없다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직접 전화와 해지신청서 내야 하는 알뜰폰 회사와 해지 방법
아이즈 모바일, 스노우맨, 프리티, 모빙, a모바일 알뜰폰 요금제의 경우에는 직접 해지 신청서와 주민등록증 사본을 보내야 합니다. 그리고 고객센터에 전화해서 해지 신청을 요구해야 합니다. 해지 신청서는 각 알뜰폰 통신사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하여서 프린트해야 합니다. 그리고 항목을 기입하고 마지막 사인까지 마쳐야 합니다. 그리고 핸드폰으로 사진을 찍으면 됩니다. 신분증의 경우에는 뒷자리를 종이 등으로 가리고 핸드폰으로 사진을 찍으면 됩니다.
해지 신청서와 신분증 사진을 찍은 후 각 통신사에 메일을 보내면 됩니다. 메일을 보내고 난 후 고객센터에 전화해서 해지 신청을 하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월초에는 전화가 많아서 고객센터에 통화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월초 첫째 주 말쯤에 전화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보통 2~3시 경이 가장 한산한 때라고 합니다.
알뜰폰 요금제 해지 신청시 팁
고객센터에 전화하는 방법은 114에 전화하면 됩니다. 그러면 각 알뜰폰 통신사의 고객센터로 자동 연결됩니다. 114를 통해서 고객센터에 전화하면 무료로 전화가 가능합니다. 각 회사의 고객센터 전화번호로 직접 전화를 하면 유료 전화가 적용됩니다. 한 개의 회사이더라도 통신사가 다르면 고객센터가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skt, lg, kt 구분을 잘해서 고객센터에 전화해야 합니다. 114로 전화하면 그런 것 상관없이 정확하게 한 번에 연결이 되므로 114로 전화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전화가 장시간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알뜰폰 회사들은 대부분 규모가 작기 때문에 고객센터 상담직원이 많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고객센터에 전화한 후 대기하라고 하면 계속 대기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어차피 통신비가 무료이기 때문입니다. 짧게는 5분 정도 기다려야 하고, 길게는 30분 정도까지 걸리기도 하였습니다.
실제 해지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해지 신청서와 신분증 사본만 잘 보냈다면 전화 통화 후 5분이면 됩니다. 간단하게 안내고지를 받기만 하면 바로 해지가 됩니다. 해지 문자는 따로 오지 않고, 통화가 끊기면서 자동으로 해지가 되었습니다.
통신사마다 다르긴 한데 이번 달 요금을 바로 내야 해지가 되는 경우가 있고, 다음 달에 청구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바로 해지가 필요한 경우에는 카드 번호를 불러드리거나 계좌이체를 해야 했습니다. 그러니 미리 카드를 준비해두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앱, 어플, 핸드폰, 스마트폰 사용 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골이 녹음 앱으로 수면분석하기 (0) | 2022.08.31 |
---|---|
선명하게 녹음되는 원거리 녹음기 어플 (0) | 2022.08.31 |
애드센스 핀 코드 발급 방법 변경(진행과정) (0) | 2022.08.30 |
사진 속 글자 추출하는 방법(한글 무료) (0) | 2022.08.29 |
핸드폰 핫스팟 연결하는 방법(스마트폰, 노트북) (0) | 2022.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