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앱, 어플, 핸드폰, 스마트폰 사용 방법

애드센스 핀 코드 발급 방법 변경(진행과정)

 

본인 확인 절차 추가
본인 확인 절차 추가

 

이전에는 애드센스 계정 수익이 10달러가 되면 곧바로 핀코드가 발송되었습니다. 그래서 주소지만 신경 쓰면 2~3주 뒤에 애드센스 핀코드를 우편으로 받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2022년 7월 말부터 핀코드 발송 방법이 변경되었습니다.

 

본인 확인 절차가 추가된 것입니다. 세금 정보 때문에 추가된 것 같기도 합니다. 본인 확인은 핸드폰 인증으로 진행됩니다. 이름, 주민등록번호 7자리,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입니다. 이름은 핸드폰 등록 이름과 동일해야 해서 한글로 입력해야 합니다. 그래서 본인 명의 핸드폰이어야 합니다. 또한 주민등록번호는 생년월일과 뒷번호 맨 앞자리 숫자를 입력하면 됩니다.

 

본인 확인 화면
본인 확인 화면

 

본인 인증이 끝나면 곧바로 본인인증이 완료 되었다는 메일이 날아옵니다. 그리고 이후에 주소 확인을 위한 핀 코드가 주소로 배송되었다는 문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화면에서는 본인 확인이 완료되었다는 글과 함께 핀코드 입력창이 뜹니다. 즉, 핀코드 확인 전에 본인 확인 절차가 추가되었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메일 확인
메일 확인

 

일부 블로그에서는 주소 확인, 핀코드 대신 본인확인이 추가되었다는 분들도 계신데 그렇지 않습니다. 대체된 것이 아니라 본인 확인 절차가 추가된 것입니다. 사실 이러한 분위기는 꽤 오래전부터 있었습니다. 약 1년여 전부터 앱 개발자 등록을 위해서 본인 확인 절차가 추가되었었습니다. 이전에 없던 절차가 추가되었었는데, 그 절차가 이제 애드센스에도 추가되었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개인설정 정보에서 본인 이름이 고정됩니다. 더 이상 변경할 수 없게 됩니다. 그래서 세금정보 확인할 때 문제가 발생합니다. 세금정보 입력할 때는 이름을 영문으로만 적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프로필상 이름과 세금정보 이름이 달라서 주민등록증 같은 본인 신분증을 제출해야만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지급 보류에 걸리게 되어서 수익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주소 확인(핀 코드)
주소 확인(핀 코드)

 

단순히 본인인증 과정이 추가 된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부수적인 문제들이 연속적으로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이에 대해서 수정이 필요할 듯한데 지금까지 구글에서 하는 일들을 보면 수정할 것 같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이런 절차가 구글 앱 개발자 등록에서도 동일하게 있었고, 불편을 호소했음에도 지난 1년여간 수정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제부터는 애드센스 계정을 만들면 무조건 본인 신분증을 제출해야 수익금을 지급받을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본인 신분증을 제출하는 경우 완전히 파기되는지, 어떠한 정보도 남지 않는지를 알 수가 없습니다. 본인 신분증 사진만으로도 은행업무를 볼 수 있고, 본인인증이 가능한 시대인데 왜 이런 절차를 요구하는지 알 수 없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시대에 뒤떨어지는 방식이라 생각하나 바꿀 생각은 없을 것으로 생각되므로 이용자들이 적응하는 방법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민증 같은 경우는 뒷자리를 가리고 보내야 합니다. 그대로 보내면 프라이버시 문제로 승인 안해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1년여전 부터 개발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신분증은 여권입니다. 한글이름과 영어 이름이 모두 나와 있어서인지 한번에 통과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기 때문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